2020년 6월 30일 화요일

[번역] 코인 텔레그래프의 유투브 영상을 검증

출처 - https://gtgox.com/fud/20200626/cointelegraph-fud/

의역 오역주의

-------------------------------------------------------------------------------------

크립토 업계에 흐르는 FUD를 살펴볼까 합니다.


크립토 업계에서 정기적으로 유포되는 FUD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뤄나가려고 합니다.

그중, 1탄으로 꼽는 것은 Ripple/XRP의 FUD를 항상 대대적으로 틀어주고 있는 코인텔레그래프의 YouTube 동영상에서 나온 정보입니다. 제목과 썸네일에 코인텔레그래프다움이 묻어나서 멋져요.






리플의 존재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


동영상은 시작부터 "리플은 존재 자체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 라는 매우 친절하고 알기 쉬운 FUD의 자막이 붙어 있습니다. 시작부터 거짓말 대폭발입니다. Ripple / XRP의 존재 목적은 '가치의 인터넷'(IoV)이라는 비전을 제시 XRP를 응용한 크로스 보더, 국가간 결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리플사는 이게 대한 많은 설명을 문서나 동영상으로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여기서 다시 설명을 할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가치의 인터넷에 대한 리플사의 영상:



XRP에 대한 리플사의 비전:




이렇게 리플사는 병확한 비전과 목적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른 암호 자산을 사용하면 되는거 아닌가?



그런데,이 리플사의 크로스 보더 결제에 암호화 자산 기술을 응용 사용할려는 노력에 대해서 "목적이 목적이 있지 않다"거나 "다른 암호 자산도있다"고 중국측의 지론은 계속됩니다. 간단히 말하면 "기술적으로는 다른 방법도 있는 것 아니냐?"라는 이야기입니다. (예, 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군요 ...)

이것에 관해서는 리플사의 현 회장의 크리스 라센이 2014 년, 즉 지금으로부터 6 년 전에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비트 코인에 관련된 기업들은 금융산업에 혁명을 일으키겠다고 한다. 말도 안되는 이야기다. 규제업종인 금융 사업은 당국과 타협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비즈니스의 변화 속도는 느리다. 지금 많은 벤처들이 취하고 있는 접근 방식으로는 성공할것 같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

(발언 출처 일본경제신문 링크- https://www.nikkei.com/article/DGXMZO80788070R11C14A2000000/)

법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면 당연히 뭐든지 할 수 있죠. 국제 송금은 암호 자산 등 사용할 것 없이 구조적으로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하고있는 것은 단순한 환전 (일본 미국이면 엔에서 달러)이므로, 그것이 실현될 수 있으면 구조로서는 성립됩니다. 그러나 법을 지키지 않으면 그것은 "지하 은행 '이되어 버립니다. 하지만 법을 지키지 않으면 그것은 지하은행이 돼버립니다. 마침 이 기사를 쓰기 직전에도 지하 은행을 운영했다고 체포된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소개해 두겠습니다.



해외에 부정 송금하는 베트남인 3명을 체포했다는 뉴스



그럼 이것을 암호 자산을 사용해서 하는 경우 OK인가?라고 물으면 당연하지만 마찬가지로 위법 행위가 됩니다.중요한 것은 크리스 라센이 말하듯이 규제와 마주하고 그 기술을 응용해 합법적으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일본이라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법률을 지켜야 합니다.

- 은행법
- 자금결제법
- 금융상품거래법
- 외환법

일본에서는 암호자산은 자금결제법에서 결제(지불, 자금이동)의 수단이라고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그것을 이동하면 법적으로는 지불이나 자금이동으로 간주됩니다. 재무성도 공식 사이트에서 암호자산의 이동은 외환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해당법

외환 및 외국 무역법에서 강제 통용력이있는 화폐 등의 지불 수단의 이전뿐만 아니라 당사자 간의 채권 채무의 소멸과 자산 가치의 이전이 있었다고 동일시 할 수 있는 재화의 이전이 있는 경우 동법상의 '지불'이 있었다고 파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상화폐에 관한 거래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일본과 외국 간 또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에 채권채무를 소멸시키거나 재산가치를 이전하고 그 대가로 가상화폐로 지불을 한 경우 또는 지불을 수령한 경우로, 해당 대가가 3000만 엔 상당액을 초과할 경우에는 일본 엔이나 미국 달러 등의 법정통화를 이용한 지불 또는 지불 수령과 마찬가지로 재무대신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일본 재무부의 공식 자료 - https://www.mof.go.jp/international_policy/gaitame_kawase/gaitame/recent_revised/gaitamehou_20180518_1.pdf)


또한 국가로는 FATF등의 국제 규정을 준수해야합니다. ICO를 사용하면 IPO를 할 것 없이 쉽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고 하여 실행한 사람들이 지금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

(텔레그램의 ICO에 대한 미국 SEC의 벌금 부여 기사 - https://coinpost.jp/?p=162589)



각국 금융기관이 참여하여 구축되고 있는 RippleNet은 이러한 규제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시스템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송금을 실현하기 위한 시도입니다.RippleNet에는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컴플리언스·스크리닝의 구조가 갖추어져 있다고 리플사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재무(재무 담당자)는 그들의 예금 잔고를 리얼타임에 파악해, 파일을 Import하는 것으로 일시불 거래의 처리를 선택합니다. Import가 끝나면 Ripple은 컴플라이언스 스크리닝을 위한 주요 거래 정보를 검증합니다. Ripple에 대응한 은행이 지불액, 총비용, 납기 견적 통지를 돌려준 점에 주목해 주십시오. 다른 은행들은 이 수준의 세부사항을 제공해 드릴 수 없어요. 중요한 것은 이 정보는 사전에 공개할 수 있고 도드 프랭크법 제1073조 및 바젤III 가이드라인의 준수요건을 충족합니다.




저스틴 썬의 영향으로 XRP가 급등했다?


이건 말이 안됩니다. XRP가 400엔에 도달한 것은 바로 2018년 1월입니다. 저도 저스틴 썬이 과거에 리플사에 재직한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스틴 썬 본인이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그가 리플에 재직한 것은 2016년 1월까지입니다. 즉 XRP가 400엔이 된 2년 전에 리플사를 그만 둔 것입니다. 더 말하면, XRP의 가격은 2017년 2월까지 1엔 이하에서 멤돌았고, 그가 리플사에 재직하던 기간에는 XRP 가격이 급등한 사실조차 없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중국에서 당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 같습니다만, 중국에서 XRP를 퍼뜨린 것은 [Ripple从入门到精通]을 쓴 장은해씨입니다.이것은 일본에서 말하는 Ripple 종합정리 같은 것으로, XRP의 중국어에 해당하는 '西波币'라는 말도 장은해씨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설마 이 업계의 중국인 중에 그런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요?)

그런데 이 이야기, (원래부터입니다만) 뭔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까요? 처음에 저스틴 썬이 리플사를 그만두고 트론을 창설했다고 해놓고, 다른 한편으론 그가 리플의 중국 시장 책임자로 XRP를 넓힌 영향으로 2017년 가상화폐 버블로 XRP가 급등한 것 같은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것이 XRP 가격 급등의 배경에 있었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저스틴 썬이 리플사를 그만두었는지, 리플사의 중국 시장 책임자로서 XRP를 퍼뜨렸는지 어느 한쪽으로 통일해야 할 것입니다. 이 모순되는 부분 때문에 폭소가 멈추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상관없는 트론이라는 말이 맥없이 나온 것도 그가 트론으로 유명한 사람이기 때문일 거예요.

암호 자산 시장이 정체하는 계기가 된 코인체크 도난사건(2018년 1월)으로부터 이미 2년 반이 지났고, 2017년의 상황을 아는 사람도 적어졌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 당연히 그때의 일이 너무 생생합니다. 2017년은 중국인이 암호자산시장에서 철수하고 대신 거래의 대부분이 일본인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그 배경에는 중국 정부에 의한 암호 자산 거래의 금지 명령이 있습니다.

그럼 2017년의 암호자산시장이 어떤 상황이었는지 당시의 기사를 다시 읽어볼까요?

2017년 11월 17일 현재 일본 엔화 비트코인 거래 점유율은 59.86%로 과반수를 차지하며 미국 달러 23.34%, 한국 원화 10.88%, 유로화 3.55%라는 수치를 봐도 다른 나라나 다른 공동체를 압도하고 있습니다(cryptocompare.com에서).

출처 -  라쿠텐 증권 기사 https://media.rakuten-sec.net/articles/-/10423


당시부터 입이 나쁜 사람이 "XRP는 일본인 밖에 사지 않았다" 등 큰 소리로 외치고 있었으므로, 특히 XRP에 관해서는 중국인의 영향이 얼마나 적었는지는 객관적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그럼, 실제로 중국인에 의한 거래 쉐어가 얼마나 줄어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볼륨 출처 - https://jpbitcoin.com/market/volume


위 그래프가 긴 파란색 막대기가 중국 위안화 거래량입니다.이처럼 2017년 2월경부터 급격하게 중국 시장이 축소되었던 것이 현실입니다.다른 식으로 말하면, 중국 시장이 활발했던 것은 XRP의 급등과는 전혀 관계없는 2016년까지입니다.




XRP 가격이 급등한 진짜 요인



이와 관련해서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2017년 일본에서는 TV 광고를 했던 비트 플라이어와 코인 체크의 두 거래소가 유명했습니다. 실제로 암호자산의 거래량 점유율은 이 2개의 거래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볼륨 출처 - https://jpbitcoin.com/market/volume



보시는 바와 같이, 당시 코인체크 거래량은 일본 시장 전체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유명 거래소로서는 XRP를 구매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사항이었습니다. 그리고, 유명 연예인 데가와 데쓰로씨를 기용한 CM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코인 체크를 통해 XRP가 구입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1월 코인 체크가 대규모 도난사건으로 인해 거래를 정지함에 따라, 반대로 이것이 XRP 가격 하락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 때의 일본 시장의 과열상은, Ripple 종합 정리 블로그의 액세스수에도 확실히 기록되고 있습니다.




딱히 중국인이 XRP의 가격을 올린 것도 아니고 중국인이 철수했기 때문에 XRP의 가격이 내린 것도 아닙니다.



시장 정체가 계속된 이유



시시한 이야기만 하고 있으면 시시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암호자산시장이 정체된 이유에 대해 제 고찰을 써두겠습니다. XRP 가격의 급등과 급락의 원인은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습니다.즉, 급등의 원인은 코인체크 TV 광고 개시에 따른 XRP 거래량의 증가로, 급락의 발단이 된 것이 도난사건으로 인한 거래 정지에 의한 것임은 의심할 여지도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영향으로 거래소의 TV 광고는 전면 중단되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코인 체크가 빠른 단계에서 거래 재개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도난된 XEM이 엔화로 약 580억 엔으로 거액이기도 하고, 금융청으로부터 엄격한 지도를 받으면서 XRP 거래 재개는 2018년 11월 26일까지 연장되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코인 체크의 거래 재개로 인해 다시 시장에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일본 거래소인 자이프에서도 같은 해 9월 도난사건이 발생하면서 거래소 TV 광고 재개도 절망적이게 되었습니다. 제가 전해 들은 이야기로는, 처음에는 2019년 봄 광고 재개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2019년 중 광고 재개가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분위기가 업계에 떠돌고 있던 찰나, 2019년 7월 비트포인트 도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로써 암호자산 붐을 뒷받침했던 일본 시장이 2019년 중 부활한다는 희망은 완전히 끊어지고 말았습니다.

당연하지만 도난 피해를 당한 거래소는 고객에게 보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사에서 보유한 암호자산도 상당액이 매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아가 2017년 말부터의 가격 급등기에는 2014년 도난 피해를 입은 마운트곡스의 파산관재인이 대량의 비트코인을 매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는 동안 자금세탁과 테러자금공여대책(AML/CFT)의 국제적 규제를 지도하는 FATF가 암호자산을 취급하는 업자(VASP: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에게 은행 수준의 엄격한 규제를 부과하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그리고 FATF 가맹국에 대해 2020년 6월까지 대응 기한이 설정되게 되었습니다.

이에 업계에서는 일본에서 개정 금상법이 시행되는 5월부터 FATF 기준에 대한 대응 기한인 6월을 구분해 거래소의 CM 재개를 포함한 어떤 움직임이 있지 않을까 예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예상대로 얼마 전부터 비트 플라이어가 텔레비전 광고를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것은 어디까지나 제 개인의 예상입니다만, 비트 플라이어에 이어 다른 일본의 거래소도 텔레비전 광고를 재개 또는 새롭게 개시하는 흐름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당연히 2017년에 TV 광고를 방영했던 비트 플라이어와 코인 체크뿐만 아니라 올해 다른 거래소들도 잇달아 광고를 내보낼 것입니다. 특히 주목받고 있는 것은 덴츠나 JR동일본도 출자하는 디카렛트나 SBI 그룹 산하의 SBIVC 트레이드등의 CM개시입니다. 코인체크 도난사건 이후 지금까지 TV업계는 암호자산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정보를 흘려왔으나, 프로그램 스폰서에 암호자산거래소가 포함되면 스폰서 계약상 그러한 일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2017~2018년부터 참여한 사람들은 몰라도 암호자산 시장이 계속 침체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가장 유명한 것은 마운트 콕스 사건 이후의 빙하기입니다(XRP에 관해서는 국내에서 취급하는 거래소가 없었기 때문에, 더 오랜 기간 침체가 계속 되었습니다). TV 업계도 마찬가지 분위기였습니다. 특히 제 인상으로는 지난 2년 당 모습은 2016년 분위기와 매우 비슷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암호 자산 시장에 있어서 재시작의 중요한 해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연말에 걸쳐 어떠한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리플사의 파트너인 SBI 그룹에서는, 암호 자산을 취급하는 SBIVC 트레이드 뿐만이 아니라 SBIFX 트레이드도 암호 자산의 차금 결제 거래(CFD)가 개시되는 것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비스의 시작이 언제가 되는지는 모릅니다만, 결산 설명회의 발표에서는 2020년 6월 이후라고 하는 기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에 따른 것이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것입니다"이것이 실현되면, 지금까지 외환거래를 실시하고 있던 투자가도 암호 자산 시장에 들어오게 될 것입니다. 단, 이러한 호재가 대기하고 있는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호자산서비스제공자(VASP)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있다는 점도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앞으로의 움직임에 저스틴 선과 관계없는 것은 틀림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질문주신 몇몇 분들의 질문에 회답하자면

코로나 쇼크로 캐시리스 결제 수요가 늘면서 각국 정부가 디지털 법정통화 발행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디지털 달러 프로젝트가 백서를 공개...

라는 부분에 관해서입니다만, 지적한 근거로 제시된 이 백서는 정부에 의해 공개된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The Digital Dollar Project에 의해 공개된 것입니다.

The Digital Dollar Project : Exploring a US CBDC (The Digital Dollar Project)
- (https://www.digitaldollarproject.org/exploring-a-us-cbdc)

그리고 이 백서에서 제안된 디지털 달러 구상은 〈이층구조〉의 통화 공급 시스템을 전제로 한 것입니다.(중국 정부 등이 추진하는 CBDC 역시 2층 구조 모델을 전제로 한 것입니다.)


즉, 여기서 말하는 디지털 달러란 민간인이나 민간기업에 의해서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의 중앙은행 계좌에서 관리되는 잔액과 동등의 것입니다(통화제도상, 중앙은행에 계좌를 보유할 수 있는 민간인이나 민간기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디지털 달러라고 하는 것은 원래 앙골로씨가 YouTube에서 말씀하신 「개인이나 기업이 각각 지갑을 가지고 계약 상대에게 직접 디지털 달러를 송금할 수 있다」라고 하는 용도의 것은 아닙니다.

이 백서가 지적한 대로, 기존 콜레스 은행 모델의 크로스 보더 결제 시스템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 문제와 현상의 해결책에 대해서도, 방금 소개한 「Ripple이 해결하는 현실의 문제」에서 해설이 끝난 상태입니다.CBDC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여기서 해설하고 있는 CLS(Continuous Linked Settlement) 결제와 같은 구조가 보다 효율적으로 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번역 끗~


2020년 6월 20일 토요일

토스트월렛에서 XUMM 지갑으로 계정 옮기는 법

정확히는 옮긴다기보다는 공유시키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XRP가 들어있는 특정 지갑에 묶여있는것이 아닌 지갑 계정은 별도로 존재하고 거기에 지갑 앱을 연동하는 개념이니까요.



연동할 지갑앱은 XUMM으로 리플사 Xpring을 통해 지원중인 Wietse Wind에서 개발한 지갑입니다.

우선 앱을 설치 후 add account를 클릭해줍니다.
이미 지갑을 사용중이라면 오른쪽 상단의 switch account누르면 add account를 찾을 수 있습니다.


 add account를 클릭 후 아래와 같이 클릭해줍니다.





import existing






Full access







 Family seed 



이후 가져올 지갑의 시크릿 키를 큐알코드나 직접 입력으로 가져오면 됩니다.

저는 핸드폰에 토스트 월렛을 사용중이라 시크릿키를 캡쳐 후 이메일로 컴퓨터로 보내서 모니터에 띄운 후 큐알코드를 찍었습니다.





마무리로 이름을 정해주면 끝입니다.




 요렇게 2개의 지갑을 무사히 연동했습니다.

토스트 월렛과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네요.
XUMM맘에 듭니다.








2020년 6월 12일 금요일

수수께끼의 USDT (테더) 발행 증가 배경에 대해- Sino Capital

출처 - https://coinpost.jp/?p=156838

의역 오역 주의

--------------------------------------------------------

가상화폐 USDT(테더)발행은 중국의 OTC브로커가 주도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홍콩의 투자은행회사 Sino Capital에서 발표되었습니다.

Coinmarketcap 기준, USDT 시가총액은 2017년부터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2020년의 코로나 쇼크 이후 그 기세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6월 11일 현재 90억 달러에 이른 USDT의 시가총액은 XRP의 시가총액을 제치고 3위에 위치할 정도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존재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테더의 발행은 기본적으로 수요에 따라 발행되는 구조지만,  담보 자산의 문제와 그것을 담보로 한 마켓의 가격 조작 등,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는 업계의 「불안요소」이기도 합니다.

한편, 현재의 USDT(테어) 발행이 실수요에 따라 발행되고 있다고 논한 것이, SinoCapital의 리포트로 주로 중국 마켓의 뒷사정에 따른 관련성을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속사정

레포트에 의하면, 중국 마켓의 크기는 세계가 상상하는 것보다 크지만, 한편으로 그것을 세계 시장에 보여줄 수 없는 사정이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비트코인 소유 자체를 금지하지 않는 것과는 반대로, 중국내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소의 운영을 금지해 왔습니다. 중국 국민이 국외거래소에 접속하거나 중국내 거래소에 은행 서비스를 금지하는 것도 이 일환입니다.

하지만 소유를 금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레이존이 존재합니다. 이른바 장외거래라고 불리는 OTC거래로 국제적으로도 물밑거래로 알려져 있습니다.

Sino Capital은 이 중국내에서 이루어지는 OTC 거래의 규모가 세계가 상상하는 것보다 매우 거대한 규모로 OTC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USDT의 수요를 끌어올리는 매우 큰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은행 거래를 직접 통하지 않고도 일정한 가격으로 거래가 가능한 스테이블코인인 테더가 중국의 그레이존과 수요와 맞물리면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중국이 가상화폐 거래 금지령을 발표한 2017년 9월의 USDT 시가총액은 약 3.6억 달러정도이며 랭킹 24위였지만 현재는 약 9.1억 3년만에 약 30배까지 시가총액을 늘렸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Decrypt 의 취재에 응한 OTC 브로커도 이 보고서를 뒷받침하는 발언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 위안화와 비트코인 거래 자체는 엄밀하게 불법은 아니지만 이런 거래로 인해 은행계좌 동결조치나 폐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USDT와 비트코인의 거래도 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일정수 허용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사업규모

브로커에 의하면 거래규모도 연간 50억 달러 정도의 규모에 이른다고 합니다.

계좌는 Silvergate나 Deltec은과 같은 암호화폐 사업자에게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을 이용하여 암호화폐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측면에서도 유럽이나 미국 사업자(브로커)와 제휴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볼때 중국용으로 OTC 거래를 하고 있지만, 브로커의 네트워크는 유럽이나 미국 등의 사업자와도 제휴한 구조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국 OTC 거래 : 큰손과 작은손

SinoCapital의 레포트에 따르면, 중국의 OTC 거래는 대규모 거래 외에, 일반 투자가에 대응한 소액 거래 시스템도 있다고 합니다.

부유층이나 기관투자가를 포함한 대규모 투자가에 대응하는 장외거래 데스크도 존재하며, 대규모 거래가 되면 Signal이나 Telegram등의 익명성이 강한 메신저 툴이나, 대면 거래를 중심으로 행해진다 합니다.

한편, 중국의 거래소 금지령 이후 국외로 철수한 거래소도 중국 국내용으로 OTC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으며, 개인투자자도 거래소 이용을 위해 VPN을 이용하여 접속 거래를 하며, 결제는 Alipay와 Wechat등을 이용하여 은행 송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테더 거래는 비밀리에...

중국의 거래 금지령이 내려진 2018년 이후 중국 암호화폐 거래 수요를 견인한것은 USDT라고 레포트는 말하고 있습니다.

반면 이런 배경속에서 확장된 중국 시장을 공식적으로 밝힐 투자자나 사업자가 없는 상황에 중국 정부에 정보가 감지될 가능성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안화 거래가 말뿐이 아닌 정말 합법이 되지 않는 한, USDT에 의한 매수 수요는 없어지지 않는다고 보고 있는 한편 이러한 불투명한 상황하에서, 테더 수요가 반드시 비트코인의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소(매수 압력)가 된다고는 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선물이나 레버리지등도 포함하여 비트코인의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레포트는 어디까지 USDT(테더)를 통한 시장접근은 중국 투자자들이 중국 정부에 탐지되지 않기 위한 방법이지 매수 압력으로 볼 수 있을지 없을지 확실하지 않다고 끝을 맺습니다.




------------------------------------------------------


요약 - 글의 요지는 일단 테터의 수요자체는 중국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정도인것 같군요.

스파크(FLR) 정보 정리 21.04.20

공인된 곳에서 발표한 내용과 정보만 정리할 예정 1. 스파크(FLR)의 코인 보유 정보 정리 - 플레어 영리재단 Flare Networks Limited 보유량 - 약 300억 FLR 미만 - 플레어 재단 보유량 약 250억 FLR 미만 (이중 5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