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 골드나 모나코인, 기타 POW 방식 검증 코인에 대한 공격이 연이어 터지면서 관련 기사를 읽다가 든 생각정리입니다.
투자는 자신의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른사람의 글은 참고만 하시길 권합니다.
의식의 흐름으로 글을 쓰니까 양해바랍니다.
-------------------------------------------------------------
1. 비트코인의 검증방식을 신뢰 할 수 있을까?
최근 몇일사이에 POW (proof- of work) 방식을 사용하는 비트코인 골드나 모나코인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오늘 본 한 기사에는 이더리움 클래식에 51% 공격을 실행하는 비용은 약 550억에서 ~ 850억 사이로 보이며 이익은 1조 1천억원정도로 추산된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에 따른 대처나 여러 방법에 대해서도 나와 있었지만 이론이로 치부하기에는 저에게는 꽤나 현실적으로 수치로 보였습니다. 실제로 이론뿐이라 여겨진 방법으로 POW에대한 공격도 나타났고 하나의 논문으로써 흘리기에는 뭔가 껄끄럽더군요.
비트코인의 핵심 개발자중 한명인 "Luke Dashjr"는 "비트코인 골드에서 일어난 일은 비트코인, 비트코인 캐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라고 말하고 있죠. 그는 "마이닝이 중앙 집중화 되지 않는다는 보안 가정이 있으며 반대로 중앙 집중식 마이닝은 백서의 보안 가정을 완전 무력화 하며 이러한 조건에서는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닙니다." 라고 합니다.
즉 비트코인은 마이닝이 중앙집권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안의 전제로 두고 있습니다. 중앙 집권화된 마이닝은 백서에서 보장하는 보안 전체를 파괴하고 안전하지도 않다고 말하고 있죠.
비트코인은 항상 51% 공격을 받고 있는 것 같은 상태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됩니다. 1명이 51%의 해시파워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한발만 뒤로 물러서서 보면 3곳의 세력이 51%를 넘기고 있습니다. 이 3곳이 독점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1~2위는 이름은 다르지만 비트메인이라는 한곳에서 운영하는 곳입니다. 상위 6곳이 모두 중국 세력입니다.
(현재 상위 3곳을 합치면 51%를 살짝 넘기네요.)
이미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쉬간의 힘싸움에서 그들이 누구의 손을 들어주느냐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속도나, 과부화가 일어나는등의 모습을 실제로 모두가 보았으며 그들이 주장하는 탈 중앙화된 방식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해쉬 파워를 높이기 위한 경쟁 싸움 POW 방식을 고수하는 한, 현재 시장을 휘두르는 것은 중국의 채굴세력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고 이것이 발목을 잡는 큰 요인이 될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2. 리플러니까 리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써봅시다.
기본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며 이 검증 참여에는 허락을 받은 참가자들만이 네크워크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노드 전체 풀노드를 검증하는 것만 그렇고 일부분만 확인하는 경우에는 일반인도 그냥 리플사 홈페이지를 통해서 참여가 가능합니다.
리플이 빠른 이유는 불특정 다수가 아닌 지정된 노드(PC)만을 통해서 80%이상의 노드들이 합의가 일치하면 장부에 기록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풀이도 없으며 다른 Pool보다 빠르게 계산하여 블록을 발견 코인을 얻기 위한 많은 양의 해쉬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과정을 허가된 참가자만 참여하며 보상(마이닝)도 없습니다.
(외부의 공신력있는 기관으로 점점 노드들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외부 기관의 경우 리플사와 계약을 진행하여 운영되는 것으로 저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리플사가 보유한 코인이나 기타 보상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중앙화라면 중앙화 입니다. 적은 수의 사람이 전체의 검증 기록을 검증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검증과정에서 보상이 없기에 POW가 받는 51% 공격같은 것은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애초에51%가 아닌 80%가 동의해야 하니까요)
문제가 된다면 노드들의 신뢰성인데..... 탈 중앙화 계획을 작년 2017년 연말 쯤에 올렸고 올해 2018년 말까지 리플사의 보유 노드(핵심 유니크 노드포함)보다 외부에 더 많은 노드가 돌아가게 한다는 글을 읽었고 실제로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3. 결론?
저는 뭐 리플러니까 리플의 손을 들겠지만 중립적인 입장의 코인을 하지 않는 친구에게 비슷한 설명을 한 후 어느쪽을 신뢰하겟냐 물어본적이 있습니다.
그 친구의 답변은 둘다 애매하기는 한데 "중국은 안믿을 란다" 라고 하더군요.
저도 그렇습니다.
이건 제가 거래소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같은데 거래소의 중구난방적인 운영이나 이런것이 중국의 채굴세력의 깽판처럼 느껴집니다. 한마디로 거래소(채굴세력)에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현재 퍼블릭이건 프라이빗건 양쪽 모두 소수가 전체를 지배하는 형태임은 분명합니다.
덩치가 큰 채굴코인은 중앙화의 문제, 덩치가 작은 코인은 외부로부터의 공격, 프라이빗 체인의 경우는 덩치가 큰 코인과 마찬가지로 중앙화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될것으로 생각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 5개정도의 채굴조직으로 51~70% 이상이 트랜잭션에 영향을 줄 수 잇는 비트코인, 외부로 점점 노드가 넓어지는 리플, 어느쪽을 신뢰 할 수 있을지는 이론적으로 쉽게 나오기는 합니다.
실제 이용자의 경우 어느쪽을 신뢰하느냐의 문제겠지요.
저는 공부를 하면 할 수록 리플이었기 때문에 계속 지지를 하겠지만요.
잡스런글 읽느라 수고하셨습니다.
ps.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고 리플을 좋아하기에 많이 기울여져 작성되었습니다. 다른 코인을 공부해도 리플 만큼 파고들지는 않았기에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심조심 작성하였습니다.
---------------------------------------------------------
참고 및 출처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 Luke Dash 트위터
https://twitter.com/LukeDashjr/status/999974330191753216
비트코인의 주요 해쉬 파워 체크 사이트
https://blockchain.info/ko/pools
이더리움 클래식의 경우 51% 공격을 위해서는 600억 정도면 가능하고 이익은 1조 1천억 정도로 예상된다는 기사
https://jp.cointelegraph.com/news/ethereum-classic-51-attack-would-cost-just-55-mln-result-in-1-bln-profit-research
리플 검증 알고리즘에 대한 참고글
https://brunch.co.kr/@bumgeunsong/4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고운말을 씁시다.